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|한 달 6만원대로 무제한? 등록부터 주의사항까지
서울시 지하철요금 인상 전, 기후동행카드부터 챙기세요!
지하철 기본요금이 2025년 06월쯤 인상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면서,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이 주목 받고 있어요. 한 달 6만5천 원으로 버스+지하철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는 건, 사실상 '월 정액 교통 프리패스'와 같다고 봐도 무방하니까요. 😎
아직 등록 안 하셨다면, 늦기 전에 모바일 티머니 앱 깔고 등록부터 하셔야 해요. 지하철요금 인상 전에 미리 등록해두면, 한동안은 정액요금으로 막차 탈 수 있다는 것도 팁이랍니다! 서울시민이라면 지금 이 혜택, 놓치면 정말 손해입니다!
1. 서울시 기후동행카드란?
서울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한 월 정액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카드예요.
항목 | 내용 |
사용 가능 구간 | 서울시 내 지하철 전 노선 + 서울시 버스 전 노선 |
금액 | 일반권 65,000원 / 청소년권 41,000원 / 어린이권 29,000원 |
이용 조건 | 서울 거주자 (주소 기준) |
결제 방식 | 모바일 카드 또는 실물 티머니 카드 연동 |
🚫 모든 노선 아니에요! 가능한 노선 범위를 꼭 확인하세요! 🚫
2.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
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은 ‘카드를 따로 신청해서 발급받는 방식’이 아니라, 티머니에 '기후동행권'을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이에요.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드릴게요!😊
모바일 티머니 앱 등록 (갤럭시)
안드로이드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는 실물카드 없이 핸드폰으로 바로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어요. 다만 아이폰은 불가하니 아래의 실물카드 등록 방법을 참고해주세요.
✔️ 등록 절차
- Play스토어에서 ‘티머니GO’ 앱 다운로드
(※ 기존 '모바일티머니' 앱과 다른 앱이에요!) - 앱 실행 후 → 홈화면에서
👉 ‘기후동행카드 정기권’ 메뉴 선택 - 카드 등록 화면에서 티머니 정기권 선택
- 결제 정보 입력 → 월 65,000원 결제
- 등록 완료 후, 핸드폰을 태그하면 교통 이용 OK!
✔️ 사용 방법
- NFC 기능 켜기 (필수)
→ 설정 > 연결 > NFC 및 결제 > ‘사용’으로 변경 - 핸드폰 뒷면을 지하철 개찰구나 버스 단말기에 대면 바로 통과
✔️ 꼭 알아두세요!
구분 | 내용 |
사용 가능 기종 | 안드로이드 NFC 기능 있는 기기 |
사용 방법 | 지하철 개찰구나 버스 단말기에 휴대폰 태그 |
재충전 | 매월 앱에서 자동결제 또는 수동 갱신 가능 |
실물 티머니 카드 등록 (아이폰)
아이폰 사용자 또는 모바일이 불편한 분들은 실물 티머니 카드에 등록해서 사용하실 수 있어요. 아이폰 사용자는 실물 티머니 카드가 꼭 필요합니다! 아이폰은 NFC를 외부 결제 시스템(티머니)에 개방하지 않아서, 티머니 터치 결제가 불가능한 구조랍니다.
✔️ 등록 준비물
- 실물 티머니 카드 (편의점, 지하철 역사 등에서 구매 가능)
- 티머니GO 앱 또는 지하철역 무인 정기권 발매기
✔️ 등록 방법
방법 | 등록 위치 | 방법 요약 |
오프라인 등록 | 지하철역 무인 발매기 | 실물 카드 넣고 ‘기후동행카드’ 선택 → 결제 후 등록 완료 |
온라인 등록 | 티머니GO 앱 | 앱 실행 → 실물 티머니 카드 번호 등록 → 정기권 선택 후 결제 |
✔️ 사용 방법
- 실물 카드를 버스·지하철 단말기에 일반 티머니카드처럼 태그하기
3.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사용 시 주의사항
❗ 30일 유효기간, 등록일 기준으로 계산돼요
기후동행카드는 정기권 등록일 기준으로 30일간만 유효해요. 예를 들어 4월 20일에 등록했다면, 다음달 5월 19일까지 사용 가능하며, 그 이후에는 자동으로 소멸돼서 재등록이 필요해요. 유효기간은 앱 내에서 남은 일수 확인 가능하니 꼭 체크하세요!
❗ 타인에게 양도는 절대 안 돼요
정기권은 등록한 본인만 사용 가능하며, 가족이나 지인에게 양도 또는 대여 불가해요.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단말 등록 여부를 체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사용하면 무임승차로 간주될 수 있어요.
❗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사용 불가
기후동행카드는 서울·경기·인천 지역의 지하철 및 버스에만 적용돼요. 예를 들어 대전, 부산, 광주 등의 지역에서는
일반 티머니 요금이 그대로 차감되며 정기권 혜택은 적용되지 않아요.
❗ 분실 시, 등록자 본인만 재발급 가능
실물카드 또는 모바일카드를 분실했을 경우, 등록된 사용자 본인만 재발급 또는 정지 처리가 가능해요.
서울시 기후동행카드 하나면 한 달 6만 원대로 지하철, 버스,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 가능하니 정말 놀랍죠! 저도 실제로 사용하면서 한 달 교통비가 거의 반값으로 줄었거든요. 특히 출퇴근이 지하철 + 버스인 분들이라면 이 카드 하나면 충분해요.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및 등록방법도 아주 간단하니, 오늘 꼭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!😄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댓글